운동 요법

당뇨 합병증에 따른 운동 시 주의사항

키다리아가씨 2022. 1. 5. 08:58

1. 당뇨병성 망막증 환자

: 고강도 운동 시 망막박리 및 유리체 출혈의 위험 증가, 혈압을 급격하게 올리는 운동을 피하면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 고강도 웨이트 트레이닝 금지

- 상체 웨이트 트레이닝은 가볍게 혹은 하지 않아도 됨

- 힘을 쓸 때 숨을 참는 행위(발살바 법) 주의

- 증식성 망막증인 경우 충분한 치료 후 운동 시작

- 금기운동: 스킨스쿠버, 마라톤, 역기들기 등 머리를 아래로 숙이는 운동

               복싱, 태권도 등 격투기 운동이나 스쿼시, 테니스 등 타격 운동 금지

 

 

2.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 환자

: 운동 중 심박수 변동부전, 둔한 수축기 혈압 반응, 무발한증 등을 야기한다.

- 고강도 운동 후 고혈당 또는 저혈압이 잘 발생하므로 주의 필요

- 체온조절 기능이 떨어지므로 덥거나 추운 환경에서 운동하지 않도록 하며,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 탈수 예방

- 저혈당 및 협심증 자각증상(무증상 허혈 발생의 가능성 높음)이 감소되어 증상과 징후를 잘 관찰한다.

- 운동에 대한 심박수와 혈압 반응이 둔화될 수 있으므로 고강도 운동을 지양하고 운동강도 설정 시 자각인지도를

  사용한다.

자율신경병증 증상

 

3.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환자

- 감각이 떨어진 발로 반복적인 운동은 궤양과 골절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장시간 발에 자극을 주는 운동 주의

- 발은 건조하게 관리, 쿠션이 좋은 운동화 착용, 폴리에스테르 또는 합성 양말 사용

- 발의 감각기능 소실이 보이면 체중부하운동 하지 않기

- 발 질환이 없는 경우는 체중부하운동 무방함(30분 이하 걷기)

- 운동 사이 사이 휴식시간을 가지도록 함 : 10분씩 3회

- 밸런스 저하로 낙상 주의

- 권장운동: 자전거, 수영, 아쿠아로빅, 상체자전거 운동

- 금기운동: 장시간 걷기, 등산, 계단오르기, 조깅, 농구, 배구, 줄넘기 등의 점프운동

 

 

4. 당뇨병성 신증 환자

- 중증 당뇨병성 신증 환자는 운동부하검사를 시행

-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이 크고 비정상적인 심박수와 혈압반응 가능성이 큼

- 혈압을 증가시키는 운동은 미세알부민뇨를 증가시킬 수 있어 중간 강도 이하의 운동이 안전

- 유산소 운동과 저항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신체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

- 고강도 웨이트 트레이닝 및 장시간의 고강도 유산소 운동 금지

- 단백질 보충제 섭취 금지

- 지나친 커피, 물 섭취 제한, 운동 중 이온음료 과다섭취 제한

- 권장운동: 세라밴드, 볼, 1~2kg 아령, 자신의 체중을 이용한 가벼운 저항운동, 실내자전거 등

- 금기운동: 역기, 축구, 테니스, 마라톤, 줄넘기 등

신증 증상-부종

 

5. 심혈관 합병증 환자

-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상의 이상소견, 안정상태 심전도 검사상의 비특이적인 이상소견 시 정밀검사를 받아야 함

- 운동 직후 갑자기 혈압이 떨어지거나 허혈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마무리 운동을 해야 함

- 기온이 낮은 겨울철 운동 시 새벽운동을 피함

- 금기운동: 고중량 역기들기, 혈압을 급격히 올리는 운동 주의

 

 

** 계절 및 기후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계획 및 방법 **

 

<여름철 운동>

- 오후 1~3시 사이 야외운동을 피해 일사병 예방

- 아침식사나 저녁식사 후에 운동

- 늦은 밤 운동은 수면 중 저혈당 초래

- 땀복 입고 운동 금지

- 탈수, 열사병 예방 위해 운동 전, 중, 후 수분 섭취

- 썬글라스, 캡 모자, 자외선 차단제 바르고 운동

 

<겨울철 운동>

- 이른 새벽, 아침, 저녁에 야외운동 피하기

- 야외운동은 점심식사 후 낮에 권장

- 부상 예방, 심장의 부담 덜기 위해 준비운동, 정리운동 철저히

- 두꺼운 옷을 입고 운동하기 보다 얇은 옷을 여러 벌 입고 운동하기

- 체온, 심장의 부담 덜기 위해 실내 운동 권장

- 겨울철 신체활동이 줄어 체중증가, 혈당조절 어려움

-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