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슐린 치료의 적응증
- 제 1형 당뇨병
- 적절한 경구혈당강하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혈당조절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
- 당화혈색소가 10% 이상이며, 심한 고혈당 증상(체중감소, 다음, 다갈, 다뇨 등)이 있는 경우
- 심근경색증, 뇌졸중, 급성질환 발병 및 수술하는 경우
- 간 및 신기능 부전이 동반된 경우
- 임신한 경우
2. 인슐린 종류
3. 인슐린 주사부위
<복부>
- 배꼽에서 2~2.5cm 떨어진 부위
- 옆구리 가장자리에서 1cm 안쪽으로 떨어진 부위
- 치골에서 1cm 위, 가장 낮은 갈비뼈에서 1cm 아래 부위
- 복부는 피하지방층이 두껍고 주사 가능한 면적이 넓으며 자가 주사하기 편리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위
<팔>
- 어깨선에서 팔꿈치까지 길이를 삼등분 하였을 때 가운데 부분
- 어깨선을 기준으로 뒤쪽 부위
- 소아 또는 6mm 이상의 바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 집어올리기가 필요하므로 제 3자가 주사
<허벅지>
- 장골능에서부터 무릎뼈 까지의 길이를 삼등분한 가운데 부분
- 허벅지 앞쪽 중심선의 바깥쪽
- 허벅지 측면 중심선의 앞쪽
- 허벅지 상단 바깥 부위가 피하조직이 두꺼워 주사부위로 권장
<엉덩이>
- 배꼽 수평선과 꼬리뼈 끝의 수평선 사이
- 한쪽 엉덩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바깥 부분
- 엉덩이는 소아나 매우 마른 사람도 피하 조직이 풍부
4. 주사바늘
'당뇨 약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슐린-2 (1) | 2022.01.13 |
---|---|
주사제(인슐린 X) (1) | 2022.01.05 |
경구혈당강하제(SGLT-2 억제제) (1) | 2021.12.29 |
경구혈당강하제(DPP-4 억제제) (0) | 2021.12.29 |
경구혈당강하제(티아졸리딘디온) (1) | 2021.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