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8)
인슐린-2 1. 인슐린 주사방법 펜형 인슐린 병형 인슐린 상온의 인슐린을 사용한다 알코올이 다 마른 후에 주사한다 주사 시마다 새 바늘을 사용한다 짧고 가는 바늘을 사용한다 많은 양의 인슐린 주사 시 주사 용량을 나누어 주사한다 2. 인슐린 주사 시 주의점 - 주사부위 순환 : 주사부위를 바꿔주는 것을 말한다. 주사부위를 순환하지 않거나 좁은 부위에 반복적으로 주사하는 경우 지방비대증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사부위 순환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주사부위 순환의 원칙은 주사부위를 최대한 넓게 사용하는 것과 같은 부위로 다시 돌아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대화 하는 것. - 주사부위 순환 시, 이전 주사부위로부터 최소 1cm이상 떨어져 주사해야 한다 - 주사부위표를 이용하면 손쉽게 주사부위를 선택하고, 순환할 ..
인슐린-1 1. 인슐린 치료의 적응증 제 1형 당뇨병 적절한 경구혈당강하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혈당조절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 당화혈색소가 10% 이상이며, 심한 고혈당 증상(체중감소, 다음, 다갈, 다뇨 등)이 있는 경우 심근경색증, 뇌졸중, 급성질환 발병 및 수술하는 경우 간 및 신기능 부전이 동반된 경우 임신한 경우 2. 인슐린 종류 3. 인슐린 주사부위 - 배꼽에서 2~2.5cm 떨어진 부위 - 옆구리 가장자리에서 1cm 안쪽으로 떨어진 부위 - 치골에서 1cm 위, 가장 낮은 갈비뼈에서 1cm 아래 부위 복부는 피하지방층이 두껍고 주사 가능한 면적이 넓으며 자가 주사하기 편리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위 - 어깨선에서 팔꿈치까지 길이를 삼등분 하였을 때 가운데 부분 - 어깨선을 기준으로 뒤쪽 부위 소아 ..
당뇨인의 간식이야기
당뇨병의 관리 목표 1. 혈당 - 당뇨관리의 가장 기본이 혈당을 관리하는 것. 심장마비, 뇌졸중, 신부전, 망막증, 신경합병증 등과 같은 당뇨병성 만성 합병증의 위험도는 바람직한 혈당 조절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다. 초기 당뇨병이면서 동반된 합병증이 없고, 저혈당 발생 위험이 낮은 경우는 당화혈색소 목표를 더 낮출 수 있다. 중증 저혈당, 짧은 기대여명, 진행된 미세혈관 및 대혈관 합병증, 75세 이상 노인에서는 저혈당 발생 위험을 고려하여 혈당조절 목표를 개별화할 수 있다. 제 1형 당뇨병환자의 경우 혈당조절 목표를 7.0% 미만으로 한다. 공복 혈당 : 80~130mg/dL 식후 2시간 혈당 :
주사제(인슐린 X) 1. 작용기전과 임상적 효과 1) 작용기전 - 사람의 주요 인크레틴(incretin)인 글루카곤양펩티드-1(glucagon-like peptide 1, GLP-1)이 DPP-4 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막기 위한 치료제 - 포도당 의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혈당을 감소시킨다 - 식후 글루카곤 분비 억제 및 식사 후 인슐린 반응을 개선하여 식후 고혈당을 개선 - 위 배출 속도를 지연하여 먹는 음식의 양을 줄이는 데 도움 - 글루카곤양펩티드-1 유사체는 크게 두 가지로, 인간 글루카곤양펩티드-1 과 약 53%의 상동성을 가지며 DPP-4의 분해에 저항성을 가지는 아메리카독도마뱀의 타액에서 유래한 exendin-4를 기반으로 개발된 Exenatide, Exenatide LAR 및 Lixisenatide와 인간..
당뇨 합병증에 따른 운동 시 주의사항 1. 당뇨병성 망막증 환자 : 고강도 운동 시 망막박리 및 유리체 출혈의 위험 증가, 혈압을 급격하게 올리는 운동을 피하면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 고강도 웨이트 트레이닝 금지 - 상체 웨이트 트레이닝은 가볍게 혹은 하지 않아도 됨 - 힘을 쓸 때 숨을 참는 행위(발살바 법) 주의 - 증식성 망막증인 경우 충분한 치료 후 운동 시작 - 금기운동: 스킨스쿠버, 마라톤, 역기들기 등 머리를 아래로 숙이는 운동 복싱, 태권도 등 격투기 운동이나 스쿼시, 테니스 등 타격 운동 금지 2.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 환자 : 운동 중 심박수 변동부전, 둔한 수축기 혈압 반응, 무발한증 등을 야기한다. - 고강도 운동 후 고혈당 또는 저혈압이 잘 발생하므로 주의 필요 - 체온조절 기능이 떨어지므로 덥거나 추운 환경에..
당뇨병 환자의 운동 시 장점 및 종류 1. 제 1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운동의 장점 - 인슐린 감수성 증가 - 혈액 내 지질과 지단백 개선 및 내피세포기능의 향상 - 열량소모의 증가로 체중감소 또는 유지 도모(체지방 감소, 제지방량 유지 및 증가) - 체력의 증진 : 심폐 체력, 유연성, 근력, 근지구력 등 - 혈압이 높은 경우 혈압 감소 - 심혈관질환의 위험 감소 - 정신적 행복감, 삶의 질 향상, 자신감 향상 2.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운동의 장점 - 혈당과 당화혈색소 감소 - 당내성 향상 - 경구 포도당 부하 시 인슐린 반응 향상 - 말초와 간장의 인슐린 감수성 증가 - 혈액 내 지질과 지단백 수준 개선 - 혈압이 높은 경우 혈압 감소 - 심혈관질환의 위험 감소 - 체력의 증진 : 심폐 체력, 유연성, 근력, 근지구력 등 - 열량소..
경구혈당강하제(SGLT-2 억제제) SGLT-2 억제제 (Sodium Glucose Co transporter 2 inhibitor) 1. 작용기전과 임상적 효과 1) 작용기전 - 신장의 SGLT-2 수용체에 작용하여 신세뇨관에서 포도당이 재흡수되는 것을 억제하여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도록 하는 기전으로 혈당을 조절한다. - 인슐린 저항성이나 베타세포 기능과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다파글리플로진(Dapagliflozin), 이프라글리플로진(Ipragliflozin), 엠파글리플로진(Empagliflozin)이 KFDA의 승인을 받고 시판 중이다. 2) 임상적 효과 - 단독요법 시 당화혈색소 감소 : 0.5~1.0% - 체중감소 효과가 있다. - 저혈당을 거의 유발하지 않는다. - 간에 부작용이 거의 없다. - 엠파글..